숙종 가계도 자세히 알아보기 장희빈과의 관계
숙종 가계도
사극에 자주 등장하는 왕중에 한 분을 꼽으라고 하면
자기의 여자들까지 권력투쟁에 이용하고 많은 비빈을
거느렸던 숙종을 꼽을 수 있겠는데요 드라마 소재로
자주 회자가 되고 있는 숙종과 장희빈 오늘은 숙종 가계도를
통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숙종
조선시대 제 19대 왕으로써 1661년 출생하였으며 재위기간은 1674~1720년 입니다.
다소 우유부단하였던 아버지였던 현종보다 머리가 총명하고 과격한 면이 어머니인
명성왕후의 성격을 닮은걸로 추측이 됩니다.
숙종의 어머니인 명성왕후는 숙종이
아플때 무당을 부른뒤 추운 겨울에 물벌을 서라고 하는 민간요법을 행하다 독감에
걸려 생을 마감하였다는 에피소드가 전해지고 있습니다.그만큼 자식에 대한 사랑을
느낄 수 있네요.
숙원 장씨를 매우 총애하여 1688 초의로 승격을 시켜주었으며 그 이듬해 장씨에게서
출생한 왕자의 명호를 정하려 하였으나 서인들의 반대에 부딪히게 되자 김수항,송시열
등을 유배시킨뒤 왕자의 명호를 정하였다고 합니다.
숙종은 정궁 3명을 비롯하여 후궁을 6명이나 거느렸다고 전해지는데요
숙종의 화려하면서 아름다운 후궁들의 이야기는 후세에서도 자주 드라마의 소재로
사용 될 만큼 인기가 높은 것 같습니다.
인경황후와 처음 혼인을 하고 공주를 얻기도 하였으나 인경왕후가 천연두로 인해
일찍 사망하게 됩니다.이후에 계비인 인현왕후를 들이게 됩니다.
인현황후는 서인세력의 우두머리격이였던 민유중의 여식으로서 조선시대 엘리트
코스를 밟은 여인이였으며 훗날 숙종의 모후였던 명성황후가 사망하고 3년상을
치룬뒤 다시 불러들이기도 하였습니다.이유는 숙종 및 숙종의 조모인 장렬왕후의
간절한 요청때문이였다고 합니다.이 후 왕비 인현왕후를 폐위시킨 후 장씨를
희빈으로 승격시키고난뒤 1690년도에 왕비로 책봉시키게 됩니다.
그 이후 숙종은 인현왕후의 폐위를 후회하게 되며 결국 폐비복원운동을 벌이던
서인들을 대거 등용시킨뒤 폐비를 복위하게 됩니다.
그 이후 희빈으로 강등된 장희빈을 1701년에 무고죄로 사사하게 됩니다.
이후 숙종은 후궁이 중전이 될 수 없다고 하교한뒤 이미 중전에 오른 최 숙빈은
사망에 이를때까지 사가에서 지낼 수 밖에 없었다고 전해집니다.
숙종 가계도
업적
대외적으로 평온한 안정기를 지냈기 때문에 선조 말부터 지속된 대동법을 평안도,함경도를
뺀 전국에 실시하였으며 병자호란과 임진왜란 이후부터 지속된 토지사업을 마무리 짓게됩니다.
이상으로 숙종 가계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역사이야기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도전 업적 자세히 살펴보기 (0) | 2015.09.28 |
---|---|
인조 삼전도 굴욕 역사 돌이켜보기 (1) | 2015.09.27 |
신라 왕 계보 신라 왕조 계보 알아보아요~~~ (0) | 2015.09.23 |
백제 건국신화 알아보기 (0) | 2015.09.22 |
선조 가계도 자세히 알아보기 (0) | 2015.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