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건국신화 알아보기
오늘은 백제 건국신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백제의 시조는 온조왕에서부터 시작되는데요 그의 아버지는 드라마에서도
나왔었던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이였습니다.주몽이 북부여로부터 졸본부여로
넘어왔을때 부여왕에게는 딸이 세명 있었는데 주몽의 비범함을 느낀 부여왕은
둘째딸을 주어 사위를 삼게 됩니다.그렇게 해서 백제 건국신화의 맨 처음 조상이
되는 온조가 태어나게 됩니다.온조의 형은 비류이며 비류와 온조는 주몽이 전에
낳은 아들인 첫째아들 유리가 찾아오자 태자에게 용납이 되지 않을 것을 우려하여
다른 지역으로 자신들을 따르는 신하들을 데리고 갔다고 합니다.
건국신화로 본 백제
온조 시조설
비류와 온조가 한산에 이르러 부아악에 오른 뒤 근거지가 될 만한 땅을 찾게 됩니다.
비류가 바닷가 근처에 근거지를 잡으려고 정하자 열 명의 부하는 "하남의 땅은 북쪽으로
한수를 끼고있고 동쪽으로는 높은 멧부리에 의지하며 남쪽으로는 기름진 들이 펼쳐져 있고,
서쪽은 큰 바다로 막혀있어 천연으로 이루어진 요새의 이로움으로 보아 얻기가 어려운
지세인데 이곳에 도읍을 일이키는 것이 마땅하지 않겠느냐며 간청했으나 의견을 듣지않은채
지금의 인천 부근인 미추홀로 떠나게 되고 온조는 이 후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게 됩니다.
열 명의 신하와 함께 나라를 세우고 나라 이름을 십제라 명하였으며 기원전 18년 이었습니다
.이 후 비류는 미추홀의 땅이 매우 습하고 물이 짜서 생활하기 힘들게 되자 그를 따르던 백성들을
모아 다시 위례로 돌아오게 됩니다.위례성에 돌아와서 보니 자리잡힌 도읍과 백성들의 안정된
삶을 확인하게 되고 이 후 비류는 후회와 부끄러움으로 인해 죽고 맙니다.결국 비류의 신화와 백성이
합류하게 되고 온조를 따르게 되었습니다.이 후 주변 소국들을 정복하여 백성을 늘리고 나라의
세력이 커지게 되자 나라 이름을 백제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국왕의 핏줄이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부여에서 나온 까닭으로 부여를 성씨로 삼았다고 하네요.
후에 성왕 연대에 와서 도읍을 사자에 옮기게 된 것이 지금의 부여군이라고 합니다.
백제 건국신화
비류 시조설
시조는 비류왕이며 그의 아버지는 북부여 왕 해부루의 서손인 우태입니다.어머니인 소서노는 졸본인인
연타발의 딸이며 우태와 결혼한후 아들 둘을 얻게 되는데 맏이가 비류 둘째가 온조였다고 합니다.
그녀는 우태가 죽은뒤 혼자 졸본에서 살았으며 주몽이 부여에 용납되지 못하고 기원전 37년 경 봄
남쪽으로 탈출한뒤 졸본에 이르러 도읍을 세운뒤 국호를 고구려로 지었으며 소서노를 왕비로 맞이합니다.
왕조를 창건하는데 있어 소서노의 내조가 있었기에 주몽은 그녀를 매우 총애하였고 비류를 대함에 있어
친하들처럼 대하였다고 합니다.이 후 주몽이 부여에 있을 당시 예씨로 부터 얻은 아들인 유류가 찾아오자
그를 태자로 세우고 왕위로 책봉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자 비류는 아우 온조에게 처음에 대왕께서 부여의 환란
을 피해 이곳으로 도망하였을때 어머니가 재물을 쏟아부어 나라 창업을 도와 이루었으니 어머니의 업적이
많았던 것이다.허나 대왕께서 세상을 뜨시게 되자 국가가 유류에게 돌아가게 되었으니 우리들이 여기에
머무르며 혹처럼 답답하고 암울하게 지내느니 차라리 어머니를 모시고 남쪽으로 가 땅을 점치고 따로 나라를
세우는 것이 나을 것이다 라고 합니다.그리하여 마침내 아우와 함께 무리를 이끌고 미추홀에 와서 살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백제 건국신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역사이야기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도전 업적 자세히 살펴보기 (0) | 2015.09.28 |
---|---|
인조 삼전도 굴욕 역사 돌이켜보기 (1) | 2015.09.27 |
신라 왕 계보 신라 왕조 계보 알아보아요~~~ (0) | 2015.09.23 |
숙종 가계도 자세히 알아보기 장희빈과의 관계 (0) | 2015.09.17 |
선조 가계도 자세히 알아보기 (0) | 2015.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