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 가계도 자세히 알아보기

Posted by BE you
2015. 9. 16. 12:45 역사이야기 History



선조 가계도


조선의 14대 왕 선조.역사에 기록되어진 선조의 모습은 친아들에


대한 시기와 질투,능력이 뛰어난 충신들을 의심하거나 시기하는등


유별난 성격을 보여주는데요 그럼에도 다행인건 그 당시에 유능한


인재들이 조선에 많이 있었다는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오늘은 선조 가계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조


선조는 조선 최초의 방계 임금이라고 합니다.조선 13대 명종의 후사 없이 서거한뒤


하성군이던 선종이 왕이 될 수 있었다고 하는데요 중전의 후사인 대군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왕이 된 것입니다.





영화나 사극의 주연으로 자주 등장하는 광해군도 선조의


아들입니다.장자는 아니였으나 형인 임해군이 패역하게 되면서 임진왜란 당시에


광해군이 세자가 되었습니다.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인목대비가 영창대군을 낳게되자


정통성으로 문제가 생기기도 하였습니다.그러나 그 당시 영창대군의 나이가 정세를


돌보기에는 너무 어렸고 선조가 승하하였기 때문에 광해군이 계속해서 보위를 이어나가


게 됩니다.하지만 지속되는 정통성 논란으로 인해 광해군은 영창대군과 임해군을 살해하고


인목대비를 폐위시켜 인조반정을 일으키는 명분을 만들기도 하였습니다.







선조 가계도


선조는 총 8명의 부인에게서 14남 11녀의 자녀를 얻었으며 , 정비 의인왕후는 몸이 약해


아이를 얻지 못하였다고 전해지며 , 계비 인목왕후가 영창대군을 포함 1남1녀 , 공빈 김씨가


광해군과 임해군등 2남,정빈 홍씨가 1남1녀,온빈 한씨가 3남 1녀를 낳았다고 합니다.





*의인왕후 박씨(1555~1632)


번성부원군 박응순의 딸로 1555년에 태어나 1569 왕비에 책봉되어 가례를 행하였으나 


몸이 허약하여 아이를 낳지 못했다고 합니다.1600년 향년 4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으며


능은 목릉이며 선조와 함께 묻혀있다고 하네요.





*인목왕후 김씨(1584~1632)


연흥부원군 김제남의 딸로 1584년에 태어났으며 1600년 의인왕후 박씨가 사망한후 1602년


19세의 나이로 왕비에 책봉 ,1606년에 영창대군을 낳게됩니다.


이 당시 광해군은 세자의 지위에 있었으며 실권자인 유영경이 적통론에 입각하여 영창대군을


세자로 추대하려 하였으나 선조가 급사하고 광해군이 즉위하게 되자 유영경 일파는 몰락하게


되고 대북파가 정권을 잡게 되었습니다.





이후 왕통의 취약성을 은폐하기 위해 선조의 첫째 아들인 임해군을 살해하고 이어서 영창대군


을 폐위시킨뒤 마찬가지로 살해하게 됩니다.또한 인목왕후의 아버지인 김제남을 사사,인목왕후를


폐비시킨 후 서궁으로 유폐시기기까지 합니다.





이 후 광해군의 폐륜행위는 정변의 구실을 주어 인조반정을 일어나게 되었으며 이로인해 광해군은


폐위되고 인목왕후는 복호되어 대왕대비가 되어 인조의 왕통을 승인한 왕실 최고의 어른 위치에


자리하게 됩니다.이후 1632년 4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납니다.소생으로는 영창대군 외에


정명공주가 있습니다.





*영창대군 (1606~1614)


선조의 14명의 아들중 유일한 적출이며 인목왕후 김씨의 소생입니다.1606년 출생하였으며 이름은


의라고 합니다.앞서 언급하였듯 왕비에게서 태어난 유일한 적출이고 선조가 늦은 나이에 얻은 


까닭으로 부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을 폐하고 세자로 책봉할 생각을 품었다고


합니다.하지만 선조가 급사하여 바램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고 전해지네요.





광해군에 의해 강화도에 유배된 후 조야에서 끊임없이 그를 구원하고자 상소하였으나 안타깝게도


1614년 봄 이이첨 등의 명을 받은 강화부사 정항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합니다.그의 나이 아홉살이


라고 하네요.


이후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서 관작이 복구되었다고 합니다.







*임해군(1574~1609)


선조의 서출 장남으로 공빈 김씨의 소생입니다.1574년 출생하였으며 이름은 진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성질이 난폭하고 군왕의 기질이 없어 그 당시 선조에게 적자가 없었슴에도 불구하고 책봉되지 못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1592 임진왜란 발생시 근왕병 모집차 함경도로 갔다가 반란군 국경인에게 억류되었다가


왜장 가토에게 넘겨진뒤 몇 차례에 걸쳐 이송되다가 겨우 석방되어 서울로 되돌아왔다고 합니다.





포악한 성격에 포로로 잡힌것에 대한 굴욕감에 사로잡혀 술로 세월을 보내거나 재물을 약탈,상민을 구타하는등


행패를 부렸다고 합니다.대북파의 주청에 의해 유배당한뒤 이듬해 죽임을 당했다고 전해집니다.


임해군역시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복작 신원되었다고 합니다.





14대 선조 가계도 정리


중종과 창빈 안씨의 9남인 덕흥대원군의 3남.1552년 출생 1608년에 사망합니다.재위기간은 1567년 7월부터 


1608년 2월까지 40년 7개월이며 부인은 8명에 자녀는 14남 11녀를 두었다고 합니다.





첫째부인 의인왕후 밖시와의 사이에는 자식이 없었으며 둘째부인 인목왕후 김씨와의 사이에는 영창대군과


정명공주가 있었습니다.셋째부인 공빈 김씨와의 사이에서 임해군과 제 15대 왕이였던 광해군을 얻었으며


넷째 부인 인빈 김씨로부터 4남 5녀를 얻는데 의안군,신성군,원종(정원군),의창군,정신옹주,정혜옹주,정숙옹주,


정안옹주,정미옹주입니다.다섯째 부인 순빈 김씨와의 사이에서는 순화군을 얻었으며 , 여섯째부인 정빈 민씨에게서


2남3녀를 두었는데 인성군,인흥군,정인옹주,정선옹주,정근옹주가 있다고 합니다.일곱번째 부인 정빈 홍씨에게


1남1녀 경창군과 정정옹주를 낳고 마지막 여덟번째 부인 온빈 한씨에게 흥안군,경평군,영성군,정화옹주를


얻었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해서 선조 가계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