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색전증 원인 및 증상 ,지방흡입부작용?

Posted by BE you
2015. 8. 12. 21:39 건강 Health

폐색전증을 쉽게 말하자면 ,심부정맥의 혈전이 이동하여서 혈관을


막은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폐 혈관의 색전증이 발생하게


되는 현상인데요 오늘은 폐색전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의


폐의 주요 기능은 우리몸에 필요한 가스 교환기능입니다.이 기능


을하기 위해 폐에는 폐동맥이 폐 전체에 펼쳐져 있는데요 ,


우심실로 부터 연결된 폐동맥은 모세혈관을 거쳐 가스 교환뒤


폐정맥을 통하여 좌심방으로 옮겨진다고 합니다.다리의 깊은


부위에 위치한 정맥에 혈관안에서 혈액이 응고된 혈전이 생겨


이 혈전이 우심방과 우심실을 거쳐 다시 폐의 혈관으로 움직여


폐의 혈관을 막게 되는 상태를 폐 색전이라고 합니다.이렇듯


색전의 의미는 혈전이 혈관을 통해 이동되어 체내에 있는 다른


혈관을 막음으로서 발생하는증상을 말합니다.






원인


폐색전증의 경우 수술이나 외상,임신,움직임이 제한된 상황,출산후


등 입원중인 상태의 환자가 혈액이 매우 쉽게 굳어버리는 상태인


과응고 상태로 인하여 발생하는게 페색증의 주 원인이라고 합니다.


폐색전증 환자로부터 암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으며 심한 흡연,


높은혈압,암세포등은 폐 색전증의 위험요소로 알려져있습니다.



증상


갑작스럽게 호흡곤란이 시작되며 실신이나 청색증이 나타날 경우


심한상태의 폐색전증을 의미한다고 합니다.가슴의 통증이나 기침


,객혈등이 발생할시에는 흉막근처에 위치한 작은 폐 색전증을


의미할수도 있다고 합니다.심부정맥 혈전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한쪽다리에 통증이나 부종같은 정맥의 혈전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검사


혈액검사와 단층촬영(CT),정맥 초음파 검사,심초음파,폐 동맥에 대한


혈관조영술등을 통하여 검사를 시행합니다.



치료


정맥혈전증의 경우 이틀에서 나흘간 침대에서 휴식을 취하도록 합니다.


급성 폐색전증의 경우 비경구 항응고제를 비타민K길항제와 투입하여


추가적으로 혈전이 형성되는것을 막도록합니다.


이밖에도 다리나 골반내의 혈전이 폐로 색전되는 것을 막기위해


하대정맥 필터를 시술하기도 하며,대량 폐색전증의 경우 혈전 용해술


과 혈관 조영술을 이용하여 치료합니다.



예방방법


입원환자들에게서 발생위험이 높으며 수술전의 효과적인 예방법으로


항응고제인 저분자헤파린,폰다파리눅스,비분획헤파린,비분획 헤파린


를 사용하여 폐 색전증을 예방한다고 합니다.



암환자의 경우 암에 걸리지 않은 환자에 비하여 6배이상 정맥 혈전


색전증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저분자 헤파린은 일일 1~2회


주사하는 경우 사망률을 낮출수 있다고 합니다.



비약물 요법으로는 보행과 운동을 통해 정맥혈류가 정체되는 현상을


차단하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주의사항


색전증의 위험 요소가 있는 분들은 장기간 움직임이 없는 상황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만약 피할 수 없는 상황이 있다면



저분자 헤파린을 미리 투여하면 예방에 도움이되며 피임약 복용,


호르몬 보충,지방흡입부작용등도 폐색전증의 위험을 높일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하며 흡연을 삼가하고 고혈압이 있다면


치료하여야합니다.